각종 재활용물품 분리수거방법
여러분들은 분리수거 제대로 하시나요?
저처럼 마냥 헷갈리지는 않는가요?
누구에게 일일이 물어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어디 찾아볼려고 해도 찾아볼 곳도 없는 제대로 된 분리수거 방법.
아래에서 속 시원히 알아 보시고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 돌아온 휴지통 by keizie ![]() |
유리제품
질문 1. 유리병에 붙어 있는 포장지는 꼭 뜯어서 버려야 하나?
원래는 뜯어서 버리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재활용 단계에서 포장지를 가열해 태우는 과정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그냥 버려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러나 가능하면 떼서 버리면 더욱 좋습니다.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의 뚜껑 역시 마찬가지인데 이왕이면 집에서 미리 분리한 후 버리면 더욱 좋습니다.
질문 2. 이가 빠진 접시, 유리로 분류해서 버릴 수 있나?
투명한 순수 유리 재질이라면 유리로 분류해서 버리면 됩니다.
하지만 도자기나 내열 유리는 순수 유리와 섞여서 재생산된 유리류이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없습니다.
질문 3. 산산이 깨진 유리, 싸서 종량제 봉투에 버릴까, 유리로 분류해 버릴까?
산산이 깨진 것이라도 순수 유리 재질이라면 유리병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운반이나 수거할 때 상처를 입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두어 번 싸서 분류해 버리면 됩니다.
유리병 분류 원리
분류된 유리병은 소독과정을 거쳐 재사용하거나 혹은 부수어 다시 성형을 해서 재사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각종 음료수병과 술병들은 공병 보증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수거율이 90% 이상이 됩니다.
다른 유리 종류들은 무색, 청색, 녹색, 갈색으로 분리하여 산산이 부순 뒤 고온에서 용해하여 원하는 제품 모양으로 다시 성형을 하게 됩니다.
유리병의 분리수거에는 반드시 유리병 안에 담배꽁초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분류된 유리병은 소독과정을 거쳐 재사용하거나 혹은 부수어 다시 성형을 해서 재사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각종 음료수병과 술병들은 공병 보증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수거율이 90% 이상이 됩니다.
다른 유리 종류들은 무색, 청색, 녹색, 갈색으로 분리하여 산산이 부순 뒤 고온에서 용해하여 원하는 제품 모양으로 다시 성형을 하게 됩니다.
유리병의 분리수거에는 반드시 유리병 안에 담배꽁초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 _DSE2173 by titicat ![]() ![]() ![]() |
의류
짊문 1, 속옷이나 구멍난 양말, 여성용 스타킹도 분리 배출이 가능한가?
많이 더렵혀지지 않는 한 의류는 거의 재활용이 됩니다.
속옷이나 양말은 물론, 여성용 스타킹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특히 스타킹은 보온성이 좋아 비닐하우스 관리에 유용하게 쓰인다고 합니다.
질문 2, 아이의 헝겊 인형도 함께 버릴 수 있나?
인형에는 플라스틱 등 부착물이 많이 붙어 있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않습니다.
안에 좁쌀이 들어 있는 인형은 더더욱 재활용함에 넣으면 안됩니다.
질문 3, 베개 솜이나 이불 솜은 재활용되는가?
의류보관함에 넣으면 됩니다.
따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없는 순수 섬유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의류 분류 기준
가죽 가방, 카펫 등 복합 소재만 빼고 모두 재활용이 됩니다.
배출된 의류는 일단 섬유를 선별하여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솜의 형태로 만들었다가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집니다. 면섬유는 흡습성이 좋아 공업용 걸레로 활용되어 유용하게 쓰이며, 그 외 올이 잘 풀리는 소재는 농업용 보온 덮개나 방음, 방수 소재로 재활용됩니다.
가죽 가방, 카펫 등 복합 소재만 빼고 모두 재활용이 됩니다.
배출된 의류는 일단 섬유를 선별하여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솜의 형태로 만들었다가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집니다. 면섬유는 흡습성이 좋아 공업용 걸레로 활용되어 유용하게 쓰이며, 그 외 올이 잘 풀리는 소재는 농업용 보온 덮개나 방음, 방수 소재로 재활용됩니다.
![]() 성북 재활용 집하장 by golbenge (골뱅이) ![]() ![]() ![]() |
음식물 쓰레기
질문 1, 달갈 껍질, 조개 껍질, 게 껍질, 복숭아씨 등은 음식물 쓰레기인가, 아니면 종량제 봉투에 넣어야 하나?
위의 것들은 모두 이물질에 속하는 것들이므로 종량제 봉투에 넣는 것이 맞습니다.
종량제 봉투에 넣을 때도 물기를 다 없앤 후 버려야 합니다.
질문 2, 생선 가시나 사과 껍질은 어느 쪽인가?
포도 껍질이나 사과 껍질처럼 젖어 있고 가축이 먹어도 무리가 없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해도 됩니다.
그러나 생선 가시는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질문 3. 시든 꽃은 젖어 있으니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해도 되나요?
음식 조리 과정에서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려서 종량제 봉투에 넣어야 합니다.
질문 4. 양파 껍질이나 파 뿌리 등 야채 다듬고 난 쓰레기는 어느 쪽인가요?
위와 같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하지 않고 모두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해서 버려도 됩니다.
질문 5. 곰국 끓이고 남은 사골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야 하나요?
사골, 갈비, 옥수수대 등 단단한 것들은 모두 종량제 봉투에 넣어야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 분류 기준
음식물 조리 과정과 식사 이후에 나온 쓰레기는 일단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해 버릴 수 있습니다.
이 음식물 쓰레기도 다른 쓰레기처럼 중간에서 일종의 선별 작업을 거치는데 이 중에서 비교적 나은 쓰레기는 가축 사료로 쓰고 그렇지 못한 것은 퇴비로 만듭니다.
가장 중요하게 기억해야 하는 점은 음식물 쓰레기 속에 칼, 비닐 등 다른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합니다.
음식물 조리 과정과 식사 이후에 나온 쓰레기는 일단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해 버릴 수 있습니다.
이 음식물 쓰레기도 다른 쓰레기처럼 중간에서 일종의 선별 작업을 거치는데 이 중에서 비교적 나은 쓰레기는 가축 사료로 쓰고 그렇지 못한 것은 퇴비로 만듭니다.
가장 중요하게 기억해야 하는 점은 음식물 쓰레기 속에 칼, 비닐 등 다른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