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근에 일제고사를 거부하는 일련의 학부모집단을 보니 비뚤어진 자식교육의 일면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학생은 시험을 쳐야 실력이 향상됩니다.
필자는 70-80년대에 초등학교(그 당시는 국민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를 다녔습니다.
그 당시를 기억하는데 시험은 큰 시험이든, 예고도 없이 행해지는 쪽지시험이든 긴장이 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시험없이 학생의 제대로된 실력은 향상되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학창시절을 참 재미있게 보낸 필자는 '시험만 없다면 고등학교가 10년정도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을 정도입니다. 그만큼 필자에게도 시험은 즐거운 학창 생활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자 긴장되고 부담스런 존재였습니다. 아니 그 당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시험이 있었습니다. 지금 일제고사로 불려지는 시험은 당시에는 '학력평가고사' 또는 지금처럼 '일제고사'로 불려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도단위의 평가고사도 있었고 전국단위의 평가고사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과목에 따라 수시로 쪽지 시험도 있었고 매달 행해지는 '월말고사'가 있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 보건대 그 당시 시험은 많이 부담스러웠지만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실력은 그 당시의 시험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학교에서는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그 시간에 자식들을 체험학습현장으로 보내 버리는 학부모들이 있습니다. 얼마나 자식을 사랑하면 저렇게까지 할까 하는 애처러운 마음도 있지만 필자가 생각컨대 그것은 대단히 위험천만한 생각입니다. 학생의 선생님에 대한 권위가 훼손되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의 행동과 주장에 선생님들이 설 자리가 없어졌습니다.
TV뉴스시간 방송에 비치는 일제고사 반대 기자회견장에 플랜카드를 들고 나와서 학부모와 함께 구호를 외치는 학생들의 모습은 정말 보기에 딱한 모습입니다. 정말 아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모라면 '항의는 우리가 할테니 너희들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학교에 가서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 이제는 촛불을 켜든다고도 합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촛불만능주의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두 여중생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순수하게 시작한 촛불집회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이제는 너도나도 문제만 있으면 촛불을 켜들고 거리로 나서는 촛불중독증에 걸렸습니다. 도무지 촛불이후는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요? 전국민이 일심동체로 촛불을 켜들면 그야말로 신천지가 도래하는 것입니까
우리 아이가 시험을 치기위해 태어난 존재는 물론 아닙니다.
그러나 선진국처럼 24시간 도서관에 불이 밝혀지고 24시간 우리의 산업현장이 불이 밝혀질 때 우리의 미래도 밝아지는 것입니다.
학교는 인성뿐만이 아니라 지성을 연마하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지성은 시험을 통과할 때 다져지고 여물어지는 것입니다.
어떠한 이유로던 학생은 학교로 돌아가야 합니다.
학생은 시험을 쳐야 실력이 향상됩니다.
필자는 70-80년대에 초등학교(그 당시는 국민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를 다녔습니다.
그 당시를 기억하는데 시험은 큰 시험이든, 예고도 없이 행해지는 쪽지시험이든 긴장이 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시험없이 학생의 제대로된 실력은 향상되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학창시절을 참 재미있게 보낸 필자는 '시험만 없다면 고등학교가 10년정도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을 정도입니다. 그만큼 필자에게도 시험은 즐거운 학창 생활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자 긴장되고 부담스런 존재였습니다. 아니 그 당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시험이 있었습니다. 지금 일제고사로 불려지는 시험은 당시에는 '학력평가고사' 또는 지금처럼 '일제고사'로 불려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도단위의 평가고사도 있었고 전국단위의 평가고사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과목에 따라 수시로 쪽지 시험도 있었고 매달 행해지는 '월말고사'가 있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 보건대 그 당시 시험은 많이 부담스러웠지만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실력은 그 당시의 시험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학교에서는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그 시간에 자식들을 체험학습현장으로 보내 버리는 학부모들이 있습니다. 얼마나 자식을 사랑하면 저렇게까지 할까 하는 애처러운 마음도 있지만 필자가 생각컨대 그것은 대단히 위험천만한 생각입니다. 학생의 선생님에 대한 권위가 훼손되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의 행동과 주장에 선생님들이 설 자리가 없어졌습니다.
TV뉴스시간 방송에 비치는 일제고사 반대 기자회견장에 플랜카드를 들고 나와서 학부모와 함께 구호를 외치는 학생들의 모습은 정말 보기에 딱한 모습입니다. 정말 아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모라면 '항의는 우리가 할테니 너희들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학교에 가서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 이제는 촛불을 켜든다고도 합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촛불만능주의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두 여중생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순수하게 시작한 촛불집회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이제는 너도나도 문제만 있으면 촛불을 켜들고 거리로 나서는 촛불중독증에 걸렸습니다. 도무지 촛불이후는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요? 전국민이 일심동체로 촛불을 켜들면 그야말로 신천지가 도래하는 것입니까
우리 아이가 시험을 치기위해 태어난 존재는 물론 아닙니다.
그러나 선진국처럼 24시간 도서관에 불이 밝혀지고 24시간 우리의 산업현장이 불이 밝혀질 때 우리의 미래도 밝아지는 것입니다.
학교는 인성뿐만이 아니라 지성을 연마하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지성은 시험을 통과할 때 다져지고 여물어지는 것입니다.
어떠한 이유로던 학생은 학교로 돌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