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중간광고가 효과가 있다는 것은 제가 예전에 사례를 들어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애드센스 중간광고는 효과가 있습니다.
요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접속자가 많아서 효과가 더 크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티스토리 서식을 이용하여 애드센스 중간광고를 넣고 있었는데 cmsfactory.net
에 갔더니 더 획기적인 방법이 있어서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이 방법은 Skin.html 에 애드센스 코드를 넣고 불러오는 방식입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신의 애드센스 코드
</div>
<script>
document.getElementById('abc').appendChild(document.getElementById('xyz'));
</script>
※ 위 코드 출처 : http://www.cmsfactory.net/node/10593
위 코드를 자신의 Skin.html 의 </body> 위에 넣습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본문 글을 작성하다가 애드센스가 필요한 자리에 아래 코드를 적어 넣으면 됩니다.
매우 간단합니다.
위 태그를 직접 넣어도 되지만 저는 서식에 저장해 놓고 사용합니다.
코드가 간단해서 직접 넣어도 되지만 서식으로 저장해 놓는 것이 더 시간이 절약되더군요.
이것은 단순히 위치 이동이기 때문에 애드센스 정책위반에도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기존 방식에 비해 제가 생각하는 이 방식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애드센스 수정이 용이
애드센스를 수정할 때 기존 방식은 각 본문의 글을 일일이 찾아서 수정해야 하는데 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이것 정말 보통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애드센스를 수정할 일이 있으면 Skin.html 에서 애드센스 하나만 수정하면 전 글에 있는 애드센스가 한 번에 다 수정이 됩니다. 정말 편리합니다.
가만히 있는 애드센스 수정할 일이 뭐 있겠는가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에 애드센스 정책이 바뀌거나 나중에 알게 된 정책이 있다면 내 블로그의 애드센스를 수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본문 안에 336*280 사이즈의 애드센스가 허용되었지만 스마트폰이 발달된 지금은 300*250 이하의 사이즈만 허용됩니다. 앞으로 애드센스 정책은 또 어떻게 바뀔지 모릅니다. 우리가 모르고 있는 정책이 있을 수도 있고요.
2. 치고 빠지기 가능
만약에 애드센스 정지를 먹었다면 본문 안에 있던 애드센스는 보이지 않고 빈 공간으로 보이게 됩니다.
글 중간에 뻥 뚫린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죠.
이럴 때 위 방식을 적용했다면 Skin.html 에서 애드센스 대신 다른 광고를 넣으면 됩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팁 하나를 살짝 알려 드리면
블로그 광고업체가 이벤트 중이라면 며칠간 살짝 그 광고로 대체해도 됩니다.
일종의 치고 빠지기 전법(?)입니다.^^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개인이 각자 생각해 보시고 좋은 방법 있으면 저에게도 살짝 귀뜸해 주세요.
좋은 애드센스 팁을 제공해 주신 cmsfactory
사이트에 감사를 드립니다.
※ 오류가 생겨 아래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필요하신 분 아래 글 참조하세요.
관련글 보기
2012/01/24 - 맞춤채널로 애드센스 수익 끌어 올리기
2012/04/21 - 애드센스 수익, 텍스트, 이미지 광고 중 어느 것이 유리할까?
2013/03/29 - 구글이 알려 준 애드센스 정책 위반 사례들
2014/04/04 - 애드센스 정책위반 이의신청 포기하지 말아야 할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