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자주 찾는 이웃 블로그나 관심 블로그의 최신 글들은 RSS 리더기를 통하여 한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RSS 리더기로는 한 RSS, 다음, 구글, mixsh 등을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해당 리더기를 서비스하고 있는 사이트를 방문하여 로그인하여 볼 수가 있습니다. 즉 몇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불편할 수가 있습니다.
이제 RSS 리더기를 내 블로그에 위젯으로 설치하여 이웃 블로그들의 최신 소식을 해당 블로그를 방문하지 않고 내 블로그에서 즉시로 확인해 봅시다.
이와같은 서비스를 하고 있는 곳은 유디엠이라는 곳입니다.
이 블로그의 본문 글 아래에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존재합니다.
먼저 유디엠을 방문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유디엠 바로가기)
로그인한 후에 상단 메뉴의 유젯 타운 - 커뮤니티형으로 들어갑니다.
커뮤니티형에는 3개의 유젯이 있는데 오늘 설치하고자 하는 것은 두번째의 RSS Plus (커뮤니티형)입니다.
RSS 형과 RSS Plus 형의 차이는 1개와 여러개의 차이입니다.
RSS 형은 RSS 한개만 쓸 수 있고 RSS Plus 형은 여러 블로그의 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RSS Plus(커뮤니티형)이 보이면 유젯 상단 우측의 십자형 기호( + ) 기호를 눌러서 블로그를 추가합니다.
여러 블로그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 이름이 많이 나오는데 가져오고 싶은 블로그의 아이디을 입력해도 되지만 굳이 그럴 필요없이 "직접 입력"으로 하고 아래의 RSS 주소란에 상대방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끝에 " /rss" 만 입력해도 됩니다.
즉, 저의 블로그 같으면 "http://www.ibagu.co.kr/rss"라고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필요없는 항목을 왜 적어 놨는지 저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다 입력하였으면 상단의 퍼가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나오는데 블로그를 클릭하시고 아래의 블로그 삽입 방식을 클릭합니다.
저는 삽입하기에 익숙한 <Script> 방식을 클릭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나오는 태그를 복사하신 후 자기의 블로그의 Skin.html 창을 열어 적당한 곳에 태그를 삽입하시면 됩니다.
이제 남은 것은 자기 블로그에 맞는 적당한 크기입니다.
유디엠에 크기 조정하는 곳이 있지만 Skin.html 에서 직접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소스를 볼 수 있는 사람은 쉽게 찾겠지만 모르는 사람도 위의 소스에서 "180;var hd = 244;var wMode" 180은 가로 크기이고 244는 세로크기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기호 옆의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7-8개의 다양한 색상으로 자신의 블로그 색상과 맞출 수 있습니다.
단, 하나 주의할 것은 자기가 등록한 블로그 RSS 가 저장되지 않으니 새롭게 RSS를 추가하려면 새로 다시 다 등록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유디엠에는 아래와 같이 블로그를 꾸며줄 다양한 유젯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익과 결합된 애드젯이라는 유젯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맘에 드는 유젯으로 블로그도 꾸미고 수익도 가져 가세요.